Environmental Durability Metallic material Laboratory
연구실 소개
우리 연구실에서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1. 환경 내구 강화 금속재료 연구 (Environmental Durability Metallic Materials)
- 금속 소재의 내구성 향상을 목표로 수소취성, 부식 저항성을 연구합니다.
- 구조용 고강도 철강 소재의 수소취성 제어와 평가 기술 개발을 통해 차세대 고성능 금속 재료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고온·고습, 해양 환경 등 사용 환경에서의 부식 특성과 방청 기술을 연구하고, 내식성 강화 전략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Environmental Durability Metals Laboratory(EDM Lab) focuses on
corrosion resistance, hydrogen embrittlement, and high-strength metallic materials,
particularly for automotive applications. Our research aims to enhance material durability and reliability under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particularly for automotive applications. Our research aims to enhance material durability and reliability under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 Metallic Materials
- Development of multi-phase high-strength steels
- Protection through metallic coatings
- Corrosion behavior of multi-material systems in automotive applications
- Corrosion Resistance
- Development of high corrosion-resistant stainless steels (SUS)
- Alloy design and microstructure optimization
- Understanding corrosion mechanisms and parameter optimization
- Hydrogen Embrittlement
- Alloy design for improved hydrogen resistance
- Hydrogen-induced fracture mechanism analysis
- Manufacturing process optimization and modeling of hydrogen embrittlement
※ The EDM Lab aims to develop next-generation metallic materials with enhanced durability for automotive, energy, and industrial applications, ensuring sustainability and
performance reliability.
2. 자동차용 도금강판의 수소 취화 특성연구 (character of application HE of coated UHSSs for automotive)
"Al-Si 핫스탬핑 초고강도강의 수소 지연파괴 및 미세조직 개선 연구"
- 이 연구는 Al-Si 핫스탬핑 강의 수소 지연파괴(HE) 거동과 미세조직 최적화를 통한 저감 방안을 분석합니다. 코팅 종류에 따른 수소 유입 영향을 평가하여 표면에서 수소 유입 특성을 규명합니다.
- 소재 성능 측면에서 TiC 나노 석출물이 수소 트랩 역할을 하여 HE 저항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습니다.
-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PAGS)를 미세화하면, HE 민감도를 낮출 수 있음을 규명하였습니다.


알루미늄 도금 핫스탬핑 강판 등 도금 강판의 수소 지연파괴 거동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코팅층과 표면에서 의 수소 유입을 이해하고 및 표면 미세조직 최적화를 통한 저감 방안 기술 확립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솔루션을 통해 수소취성 민감도를 저감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 자동차용 부품의 주행 부식 환경에서의 응력부식균열 거동 및 부식 가속 환경 요인 분석
- 자동차 등 구조용 금속재료의 부식 환경에서의 균열 및 파괴거동에 대해 연구합니다.
- 사용 환경 에 따른 모사 시험법을 개발하고, 응력부식균열 평가와 분석을 수행합니다.
- 궁극적으로 환경 중 부식 가속 제어 요인을 도출하고, 미세조직 설계를 통한 소재 저항성 향상을 통해 내구성 강화 솔루션 도출 연구를 수행합니다.

지도교수 소개
교수명 : 김혜진
경력
- 연구실 : D동 205호
- 연락처 : 031-8041-0587
- 이메일 : khj020911@tukorea.ac.kr
- 홈페이지 : https://edm-lab.github.io/MSE
경력
- 대한금속재료학회 수소재료분과 간사위원
- 26회 현대자동차그룹 학술대회 연구 논문상 수상 (그룹사 장려상, 2018)
- ICOMAT oral presentation award 수상 (2022)
- 한국재료연구원 우수 논문상 수상 (2024)
- 다수의 SCIE 논문 게재 및 학술대회 학생발표상 수상